우리나라의 조약체결 활동
우리나라는 정부 수립 이래 다른 나라들과 경제·사회·문화·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조약을 체결해 왔습니다. 정부 수립 후 2018년 12월까지 우리나라가 체결·발효한 조약은 총 3,291건(양자 2,584건, 다자 707건)입니다. 이 중 1960년 이전 13년간 발효된 조약은 102건(양자 66건, 다자 36건)에 불과한 반면 2011~2018년까지 8년 간 발효된 조약은 544건(양자 451건, 다자 93건)으로 2000년대 들어 조약 체결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일반 국민의 생활과 관련된 조약의 체결 건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자유무역협정(FTA), 이중과세방지협정, 사회보장 협정, 투자보장협정, 형사사법 공조 및 범죄인인도조약 등은 경제·사회·사법 등 제반 분야에 있어 우리 국민들의 이익을 증진하고 사법 분야 공조 강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나라의 조약체결 활동
우리나라는 정부 수립 이래 다른 나라들과 경제·사회·문화·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조약을 체결해 왔습니다. 정부 수립 후 2018년 12월까지 우리나라가 체결·발효한 조약은 총 3,291건(양자 2,584건, 다자 707건)입니다. 이 중 1960년 이전 13년간 발효된 조약은 102건(양자 66건, 다자 36건)에 불과한 반면 2011~2018년까지 8년 간 발효된 조약은 544건(양자 451건, 다자 93건)으로 2000년대 들어 조약 체결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일반 국민의 생활과 관련된 조약의 체결 건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자유무역협정(FTA), 이중과세방지협정, 사회보장 협정, 투자보장협정, 형사사법 공조 및 범죄인인도조약 등은 경제·사회·사법 등 제반 분야에 있어 우리 국민들의 이익을 증진하고 사법 분야 공조 강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 수립 이후 조약 체결 건수 추세 (발효 기준)
(2018.12.31 기준, 외교부 조약과)(36)
(63)
(93)
(116)
(135)
(171)
(93)
(707)
※ ( )는 다자조약
대외활동에 있어 법적 지식에 대한 이해 제고 노력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국제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개최된 조약 설명회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