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 Alarm
    프로필 이미지
  •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활동소식
  • 지금, 우헌국
    • 우헌국 소개
    • 우헌국 사람들
    • 전국 지부 현황
    • 오시는 길
  • 함께, 우헌국
    • 가입/후원
    • 교육 상의
  • 헌법
    • 헌법교육자료
    • 정보사이트
  • 우리헌법읽기
    • 캠페인자료
    • 이야기/사례
사이트 로고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 활동소식
  • 지금, 우헌국
    • 우헌국 소개
    • 우헌국 사람들
    • 전국 지부 현황
    • 오시는 길
  • 함께, 우헌국
    • 가입/후원
    • 교육 상의
  • 헌법
    • 헌법교육자료
    • 정보사이트
  • 우리헌법읽기
    • 캠페인자료
    • 이야기/사례
site search
로그인
사이트 로고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 활동소식
  • 지금, 우헌국
    • 우헌국 소개
    • 우헌국 사람들
    • 전국 지부 현황
    • 오시는 길
  • 함께, 우헌국
    • 가입/후원
    • 교육 상의
  • 헌법
    • 헌법교육자료
    • 정보사이트
  • 우리헌법읽기
    • 캠페인자료
    • 이야기/사례
site search
로그인
MENU
사이트 로고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로그인 위젯 문구
활동소식
지금, 우헌국
함께, 우헌국
헌법
우리헌법읽기
헌법교육자료
정보사이트
  • 헌법교육자료
  • 정보사이트
자료
글쓰기
검색
공지 헌법교육자료 [헌법교육자료] 민주주의와 국가보안법
0
0
2021-06-29 조회 674
공지 헌법교육자료 [헌법교육자료] 남북의 헌법 그리고 국민의 권리
0
0
2021-06-29 조회 649
공지 헌법교육자료 [헌법교육자료] 대한민국 주인은 누구인가
0
0
2021-06-29 조회 657
공지 추천도서 시민교육의 기초로서의 헌법
책소개 정치/사회 > 법학 > 헌법 > 헌법일반한국에서는 진영 논리만이 득세하고 있기 때문에, 여론 형성이 왜곡되고 민주주의의 발전이 지체 되고 있다. 맹목적으
0
0
2020-03-29 조회 1464
공지 추천도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실패한 동반자 관계?
DemDigest January 20, 2020 이안본드(Ian Bond)와 아가타 고스킨카 자쿠보스카(Agata Gostynska-Jakubowska)의 분석가들의 제안에
0
0
2020-01-22 조회 1008
공지 추천도서 독일 연방제와 지방자치/ 조성복 저
책소개 한국 정치의 후진성과 사회양극화 탈출의 열쇠는연방제 수준으로 지방자치를 강화하는 것이다한국의 지방자치를 개선하기 위해 독일 정치의 제도와 실제, 또는 그 어떤 부분을 배우
0
0
2019-12-13 조회 812
공지 추천도서 변이 국회의원의 탄생 / '일하지 않는 국회' 소준섭 저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정치/사회 > 사회학 > 사회학일반 > 르뽀/시사/비평이 책은 국회도서관에서 조사관으로 근무하며 우리 사회와 정치문화에 남다른 애정을
0
0
2019-12-06 조회 796
공지 추천도서 한국현대사 / 김용택편저
0
0
2019-11-29 조회 752
공지 추천도서 우리말로 살려놓은 민주주의 헌법 / 이오덕
이 책의 머리말에서 이오덕 선생님이 쓴 헌법과 어린이 권리 국제협약, 회의하는 말을 쉬운 우리말 우리글로 다듬어 고친 까닭을 되새겨 보면서, 쉬운 우리말과 우리글로 고친 헌법을
0
0
2019-11-29 조회 864
공지 식민주의와 세계사 식민지
식민지 목차1. 개요2. 식민주의2.1. 정착형 식민주의(Settler Colonialism): 고대 ~ 중세 2.2. 대항해시대 이후 19세기 초: 거점 식민지 형태 2.3.
1
0
2019-11-11 조회 1978
공지 식민주의와 세계사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식민지 시대는 대부분의 식민지 국가들이 1960년대 초에 국가 독립으로 해방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 현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식민지 지배와
1
0
2019-11-11 조회 1674
검색
글쓰기
  • Previou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Next
SNS 바로가기SNS 바로가기SNS 바로가기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E-MAIL   kocorg411@gmail.com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